Azure Global Regions
Azure 고가용성 Architecture
Azure Geographies : DR 대비
Azure Regions (지역) 단위 AZ : 데이터센터 간 가용성 확보
Availability Sets (가용성 집합) : 데이터센터 내 가용성 확보
Azure Global Regions
- 우리나라는 주로 Korea regions 사용
- 전세계적으로 Regions은 66개 이상이고, 300개 이상의 데이터센터 운영 중
- 글로벌 CSP(Cloud Service Provider) 중에서 유일하게 Multi Region 및 원격 DR (Region Pair) 가능
- Azure 전세계 top3 내 초고속 네트워크 백본 보유하고 있고 전세계적으로 Azure Regions 간 통신 가능
Azure 고가용성 Architecture
Azure Geographies : DR 대비
Azure Korea service regions은 중부, 남부로 Regions pair (지역상) 구성 : 2개의 Regions으로 관리
- 지리적 데이터 상주 규정을 준수하고 보장
- DR 구성 및 DR 상황 대비
- 반드시 국내 간 pair는 아님
Azure Regions (지역) 단위 AZ : 데이터센터 간 가용성 확보
- Azure Regions은 Availability Zone (AZ)의 set
- 동일 도시 내 여러 개의 데이터센터의 set이 AZ를 이루고 그 AZ들이 Regions을 이루게 됨
- AZ 간에는 latency가 낮아서 data sync가 가능
- AZ 지역 내 최소 3개의 데이터센터 연결 제공
- AZ 간의 roup trip 1.2ms
- AZ 안에서의 round trip은 0.4ms
- AZ 구성은 하나의 데이터센터가 장애가 발생시 다른 데이터센터로 failover 되어 서비스 제공하는 단위
- 각각의 power, cooling, network, infra-structure 장애에 대비하는 범위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c39FzE/btsL6LihNjq/lMSmLiBRESHpe9zpgEBJjk/img.png)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snA4f/btsL72JVeBG/em7r7DP472KZtWCAdcjW01/img.png)
Availability Sets (가용성 집합) : 데이터센터 내 가용성 확보
- AZ 내 가용성은 모두 sync로 제공
- 데이터센터 장애까지 가용성 확보되었다고 하면 데이터센터 안에서의 가용성은 어떻게 확보? (동시에 재기동 되지 않는 단위)
- update domains : 개별 update 도메인이 동시에 재기동 되지 않는 단위 (최대 20개까지 구성)
- fault domains : 개별 rack 단위로 각각의 전원, 네트워크 스위치를 공유하는 단위 (최대 3개 까지 구성)
여러 데이터센터가 모여서 AZ가 되고 AZ들의 합이 Regions이 되고 Regions들이 모여
Regions Pair(지역상-한국 중부& 남부)이 구성이 되면 이것을 Azure Geographies (한국지역)라고 함
* Azure Geographies >Regions pair(지역상) > Regions > Availability Zone(AZ) > DataCenter